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08 - 상대주의에 대한 소고 1
    카테고리 없음 2021. 8. 5. 20:11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을 신봉했던 모더니즘은 너무나도 이성적이었던 나치에 의해 무너져 내렸다. 이후, 필연적으로 감성과 다양성을 존중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득세하게 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득세하고 50년 남짓이 지난 지금, 어쩐지 그 끝이 보일 것 같아 흥미진진한 요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해체주의’-의심과 물음의 제기-로 대표되며, 모더니즘을 해체해 가는 과정에서 다양성과 상대주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모든것을 존중한다(해야한다)고 말하는 상대주의는, 오직 하나만을 존중하는 절대주의의 존재로 인해 반드시 스스로 모순될 수 밖에 없다. 상대주의는 절대주의를 긍정할 수 없다는 태생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전에도 적었던 내용이지만, 나는 고전적인-고리타분한- 인간이다. 감성보단 이성으로 생각하고자 하며, 다양성보다는 보편성을 좋아한다. 당연히 존중하지 못하는 것들도 더러 있다. 젠더가 그렇다. ‘3의 성의 존재는 내 입장에서는 조금 받아들이기 어려운 개념이다. ‘젠더론은 그 확장성에 문제가 있다. 당장 내가 ‘컴퓨터에게서 성욕을 느낀다고 주장했을 때, 젠더론자들은 이를 존중할 수 밖에 없다. ‘존중되어야 하기 때문에의심할 수 없어서이다. ‘상대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낳은 산물이지만, 동시에 의심과 해체로 대표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이 더이상은 아니게 되었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람들이 보이는 이중적인 태도는 이런 근본적인 문제에서 기인한다. ‘모든것을 존중하는 것은 그저 빛좋은 개살구일 뿐이다. 우리는 존중할 수 있는 것만을 존중할 수 있다.

     

     내가 절대성이 아닌 보편성을 좋아하는 것은, 보편성이 젠더론 안에서도 납득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트렌스젠더가 그렇다. 이분된 성이 실제 성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경험해보진 않았지만, 기존의 두 개의 性의 범위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기에 충분히 상상할 수는 있는 부분이다. 트렌스젠더는, 내가(가장 평험한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보편의 범위에 이미 들어와 있으므로, 그들을 존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의 생각에 잘못이 없다면, 앞으로의 이념 갈등에는 이 '보편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해질 것이다.

Designed by Tistory.